관리 메뉴

IT 컴퓨터공학 자료실

'한국판 뉴딜' 추진방향 -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문서 본문

etc.. 기타 카테고리 2/IT 관련 정부 정책

'한국판 뉴딜' 추진방향 -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문서

윤맨1 2021. 2. 5. 09:59

한국판 뉴딜 추진 체계

 

. 추진배경

 

감염병 충격으로 경제위기경제·사회구조 변화 동시발, 코로나 위기를 혁신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

 

감염병 위기가 경제로 전이 글로벌 보건·경제 동반 위기

 

전례 없는 감염병 사태 인적·물적 이동 위축이 경제침체로 이어지는 보건·경제 동반위기 하에 수요·공급 위축이 동시에 진

 

글로벌 경제구조 변화상황*에서 국내외 경기침체 심화 고용상황 악화 장기화 산업분야 투자 활력 저하 우려

 

* 글로벌 밸류 체인(GVC) 훼손, 글로벌 산업경쟁력 구도 재편 등

 

코로나19 계기비대면의 일상화·디지털경제 전환 가속화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는 우리 경제전반의 비대면화(Untact)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4차 산업혁명 가속

 

온라인 플랫폼 기반 온라인 교육, 비대면 의료, 원격근무 등 비대면 활동 속도와 범위가 급속히 증가

 

이 과정에서 데이터 수집·축적·활용 인프라초고속 정보통신망에 대한 수요도 크게 확대

 

한국판 뉴딜 경제 혁신 + 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

 

코로나19 계기, 경제 분야 구조적 변화 등에 대한 선제적·종합 대응경제·산업분야 Post-코로나 TF*중심으로 총괄·조정

 

* 거시·총괄, 산업·중기, 고용, 바이오 산업, 국토·교통, 과학·IT 6개반 구(팀장: 기재부 1차관)

 

한국판 뉴딜은 경제·사회 구조 변화 중, 특히 비대면화·디지털화 대응에 중점 디지털 기반 경제혁신 가속화 일자리 창출 추진

 

. 추진방향

 

1

 

추진목표

 

경제구조 고도화+지속가능한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디지털경제 촉진을 위한 미래지향적 대규모 사업 추진

 

(경제구조 고도화) Post-코로나 시대 경제·사회구조 변화에 대, 혁신성장 동력 확충 잠재성장력 제고

 

ICT 우리 강점분야에 집중 투자, 기존 산업과의 융복합 촉진 산업 경쟁력 강화, 글로벌 산업시장 선점

 

(지속가능 일자리 창출) 혁신 프로젝트 추진, 융복합산업 활성화 에서 미래세대까지 지속 가능한 일자리 창출 선순환 구조 구

 

2

 

프로젝트/과제 선정 4대 원칙

 

우리 경제 디지털 경쟁력을 바탕으로 디지털 기반 프로젝트에 집

21세기형 뉴딜*

 

* 과거 토목사업 위주의 뉴딜과 차별화

 

정부 투자를 통한 민간투자 확대 시너지 효과가 크고, 일자리 창출이 가능한 분야

 

민간사업을 구축·잠식하는 프로젝트는 지양

 

산업·분야 기초가 되는 혁신 인프라로서, 경제전반의 혁신확산 및 생산성·경쟁력 제고와 직결되는 분야

 

선택과 집중을 통해 임팩트 있는 대규모 혁신 프로젝트

 

경제 파급 영향이 작은 소규모 세부사업 지양

3

 

추진 방향

 

2~3년 시계에서 국민체감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대규모 혁신 프로젝트 과감히 속도감 있게 추진

 

* 기존사업의 경우 당초 추진일정을 최대한 앞당겨서 시행

 

정부투자 +민간투자의 시너지 효과 극대화, 규제개혁 등
제도개선을 병행 추진하여 경제구조 고도화+일자리 창출

 

Ⅲ. 3대 프로젝트 및 10대 중점과제*

 

* 10대 중점과제는 향후 TF 논의 과정에서 조정 가능

 

1

 

혁신성장을 위한 디지털 인프라 구축

1-1. 데이터경제 가속화를 위한 데이터 수집활용 기반 구축

 

󰊱 데이터 수집-개방·결합-거래-활용 주기 인프라 강화

 

(수집개방) 공공금융의료 등 주요 분야 데이터 개방 확

 

(거래) 민간 데이터 맵 구축 등 데이터 거래유통 지원 강화

 

(활용) 데이터·AI펀드 조성 등 데이터의 산업적 활용기반

 

󰊲 국민체감 핵심 6대 분야 데이터 수집활용 확대

 

국민 체감도가 큰 분야에서 데이터 활용 활성화

 

 

(금융) 비금융정보 기반 신용평가업 도입 및 금융 마이데이터 산업 제도 마련

 

(의료) 마이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구축 및 의료데이터 활용전략 마련

 

(교통) 교통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공공) 데이터 SOS팀 운영 및 데이터 진위 조회 신규서비스 도입

 

(산업) 제조데이터 수집·저장 센터 구축

 

(소상공인) 상권정보시스템에 POS 데이터 활용 및 AI기반 상권분석정보 제공

 

1-2. 산업혁신 확산을 위한 5G 등 네트워크 고도화

 

󰊱 혁신기반 마련을 위한 5G 인프라 조기 구축

 

민간 5G 전국망 조기 구축을 촉진하고, 공공와이파이 등
공공 정보통신망 확충

 

󰊲 도시, 산업현장 등에 5G+ 융복합 사업 촉진

 

제조업 등 산업현장5G+ 실감컨텐츠접목하여 디지
전환가속화하고, 안전교통 등 분야에 5G+ 스마트시티 기술 도

1-3. AI 대중화를 위한 AI 인프라 확충 및 융합 확산

 

󰊱 AI 본격 활용 촉진을 위한 AI 데이터인프라 확충

 

음성·행동인식, 언어·시각정보 이해 등 AI 학습용 빅데이터조기 구축하고, AI·SW 전문인력 집중 양성

 

󰊲 산업으로 AI 융합 확산

 

제조업 전반 중소·벤처기업 등에 지능형 생산공정도입하고, AI 융합 프로젝트를 통해 분야로 혁신 AI 서비스 확산

 

2

 

Post-코로나 시대 대응을 위한 비대면 산업 육성

 

󰊱 비대면 서비스(교육 등) 확산 기반 조성

 

맞춤형 교육 콘텐츠를 제공하는 AI기반 원격교육지원 플랫폼 구축 등 미래형 디지털 교육환경 조성

 

보건소 모바일 헬스케어, 화상연계 방문건강관리 기존 디지털 기반 비대면의료 시범사업 코로나 방역 계기 시범사업 확대

 

󰊲 비대면서비스 활용 촉진을 위한 클라우드 및 사이버안전망 강

 

블록체인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서비스 보안 시범사업 추진 및 공공부문 클라우드 정보시스템 확대

 

점증하는 사이버보안위협에 대비, 정보보호 전문인력 양성 확

 

3

 

안전편리한 국민생활을 위한 SOC 디지털화

 

󰊱 국민 안전 등을 위한 노후 국가기반시설 디지털화

 

도로, 철도 등 노후 시설물 스마트 관리체계도입하여 안전성 제고하고 가기반시설 관련 데이터 수집가공공유 확대

 

󰊲 첨단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물류서비스 체계 구축

 

도심 인근, 유휴부지스마트 물류센터 첨단 물류시설 확충

 

로봇, IoT 첨단 물류기술 실증을 위한 테스트 베드 구축

. 향후 추진계획

 

1. 향후 일정

 

(52, 잠정) ‘한국판 뉴딜 추진 TF’ Kick-off 회의

 

(52~4) 한국판 뉴딜 관련 세부사업 검토

 

(6월초)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 발표 계기에 한국판 뉴딜세부 추진방안발표*

 

* 한국판 뉴딜 최종방안은 추후 발표

 

2. 예산 관련 사항

 

금년 집행이 가능한 사업3차 추경 반영

 

여타 사업은 ‘21~’22년 예산안에 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