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일본대학원
- 사양
- 정보처리기사
- 명령어
- 韓国
- 코로나바이러스
- 韓国ヒップホップ
- 성능측정
- 스펙정보
- 사양정보
- 다음메일
- move앱
- DevNet
- ios
- 동시접속
- 5G
- 200-301
- 환경정보
- JMeter
- 리눅스
- 4차산업
- 스마트시티
- 한국판뉴딜
- ads.txt
- 사용자100명
- certification
- gbd-200
- 일본유학
- QA
- 부자아빠가난한아빠
- Today
- Total
목록네트워크/시스템 엔지니어 (3)
IT 컴퓨터공학 자료실
알기 쉽게 설명하려고 하는 스위치의 종류와 차이점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보도록 합시다. 우선 여기서 말하는 스위치는 네트워크 스위치를 말합니다. 네트워크 스위치의 사전적 의미부터 알아봅시다. 위키에 따르면 네트워크 스위치(network switch)는 처리 가능한 패킷의 숫자가 큰 것으로, 네트워크 단위 들을 연결하는 통신 장비로서 소규모 통신을 위한 허브보다 전송 속도가 개선된 것이다. 간단히 스위치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으며, MAC 브리지,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 포트 스위칭 허브(port switching hub)라고도 한다. 와... 무슨 말이지 이게... 어려운 말은 됐고요. 간단하게 생각합시다. 우리가 볼 때는 인터넷을 할 수 있는 랜선 있잖아요? 그거 여러개 꽂을 수 있는거...
지거국 컴공과 4학년 학생입니다. 학교를 3년넘게 다녀본 결과 저는 프로그래밍에 재능이 없다고 결론 내렸습니다. 이걸로 밥 벌어먹고살 그리고 남들보다 앞서나갈 자신이 없습니다. 잘하는애들 학부생활하면서도 꽤 봤구요. 그래서 눈을돌린게 SE 쪽인데 서버개발같은걸 하는게 맞는거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쪽도 실력이 중요하지만 어느정도 정해진 루틴이라는게 있지 않나요? 공부하면서도 언어 그 자체보단 네트워크 운영체제쪽 공부하는게 더 맞았던것 같습니다. 뭔가 겉으로 들어난것들보다 내부에서 네트워크를 다룬다는게 뭔가 더 본질적인것들을 다루는것같아서 그것도 맘에 들구요. 프로그래밍 싫다고 시스템엔지니어쪽 알아본다는거 바보같은 생각인가요? yang_rail 121·약 5년 전 비추천0추천 서버 개발이랑 se랑 다릅..
시스템 엔지니어와 네트워크 엔지니어 글쓴이: corone / 작성시간: 금, 2008/08/29 - 2:55오전 졸업을 앞둔 학생입니다 이제 학교 생활도 끝이네요 그동안 뭐하냐고 물으면 학생이라고 당당하게 버텼는데 이제는 뭐라고 말해야 할 지...ㅋ; 졸업을 앞두고 취업, 진로 고민에 빠졌는데요 길고도 긴 학생 생활하면서 (학교를 좀 오래 다녔어요 대학원생 아닙니다 학부생입니다) 비중을 두고 열심히 공부한 것은 서버 등의 시스템 분야와 네트워크 분야였습니다 # 앞으로 제가 쓰는 글에서 용어가 너무 포괄적이거나 틀릴 수 있습니다 # 양해해 주시고 추측해주세요 리눅스/유닉스 등에 흥미를 느끼고 이 쪽으로 열심히 공부했고요 라우터/스위치 등에도 흥미를 느끼고 이 쪽으로도 열심히 공부했습니다 저학년때는 리눅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