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韓国ヒップホップ
- 사양정보
- 다음메일
- move앱
- 리눅스
- 명령어
- gbd-200
- 200-301
- QA
- certification
- 韓国
- 4차산업
- 한국판뉴딜
- 성능측정
- 일본유학
- 사용자100명
- 스마트시티
- 정보처리기사
- 사양
- 부자아빠가난한아빠
- 일본대학원
- 스펙정보
- 동시접속
- 5G
- 환경정보
- ads.txt
- ios
- 코로나바이러스
- JMeter
- DevNet
- Today
- Total
목록일본 관련 정보/일본 취업 (4)
IT 컴퓨터공학 자료실
https://www.recme.jp/media/201812185832 就活の新定番!エントリーシートでの自己PR動画 | 【レクミー】 近年、インターン・本選考ともに就職活動においてエントリーシートやウェブテストの受験と併せて自己PR動画の提出を求める企業が増えています。しかしこれまでの人生でPR動画を撮ったこ www.recme.jp https://www.nikkei.com/article/DGXMZO56121500X20C20A2X11000/ 就活の新潮流「自己PR動画」 文章自信なくてもチャンス 政府の就活ルールが定めた企業の説明会の解禁が3月1日に迫った。今年の就活の新潮流の一つが「自己PR動画」だろう。面接で就活生に会う前に人材を見極められ、事前に提出させる企業が増 www.nikkei.com https://www.asahi.com/shukatsu..
해외 취업시 알고 계시면 좋은 것3 | 취준생 TIP 2020.05.07. 11:06 대리 https://cafe.naver.com/sdk800402/358242 거꾸로 하는 것이 자연스러울 정도..... 안녕하세요 계속해서 생각이 난 점을 몇가지 적는 중인데 저도 이번에 짤렸습니다. 정확하게는 더욱 비참한 상황인데 그 점은 차치하고 저도 구직 중입니다. 그래서 자격증에 목매는 거고요 지금 구직자가 구직하며 느끼는 거라 여러분께서 캐치하실 수 있는 부분이 있으실겁니다. 제가 캐치하기 좋게 던져드리는 실력은 없어서 죄송 호주 생활을 하면서 동남아시아나 한국에 비해 이것이 다르다 라고 느낀 점은 우선 별의별 기관과 Authority들이 저마다의 영역에서 각자의 시스템(굳이 IT에만 국한 하는 개념은 아닙니다..
해외 취업시 알고 계시면 좋은 것2 | 취준생 TIP 2020.05.07. 10:37 대리 https://cafe.naver.com/sdk800402/358237 해외 취업은 그야말로 복불복, 천태만상, 입사가능성이 있으면서도 없는 슈뢰딩거의 고양이 같은 거라 한마디로 정의하기가 어렵고 그 설명은 더욱 장황하겠지요 그렇지만 하나 알고 계시면 좋은 팁은 의외로 많은 가능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지금 코로나 시국에 무슨 말이냐 하실 수도 있겠지만 이게 들어보면 또 말이 됩니다. 현재는 코로나로 인해 자국민과 이미 입국해 일을 하던 많은 TemporaryWorker 모두 타격을 받아 TemporaryWorker 일부(3십만명이라고 하니 많은 듯)는 자국으로 돌아간 상태입니다. 자국민의 재고용을 우선적으로 추진하..
해외 취업시 알고 계시면 좋은 것1 | 취준생 TIP 2020.05.07. 10:11 대리 https://cafe.naver.com/sdk800402/358235 안녕하세요 멜번의 Jay입니다. 저는 싱가포르 8년 말레이시아 6.5년 호주 4년차 이렇게 살아봤는데요 직장에서의 한가지 공통적인 Myth 같은 것이 있었는데 무엇이냐면 어느 한 국가 / 지역 / 인종의 말은 있는 그대로 받아 드리면 안될 정도로 신뢰도가 크게 떨어진다는 점입니다. 해외 생활을 해보신 분들 중에는 아마 어느 나라인지 짐작 하실 지도 모르겠는데요 그 나라가 어느 나라인지 알게 되는 것이 포인트가 아니라 그것으로부터 배워야 하는 점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우선 구직의 단계에서 한국인은 지나치리 만큼 많은 정보를 제공합니다. 해당 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