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명령어
- 5G
- ads.txt
- gbd-200
- 부자아빠가난한아빠
- certification
- 다음메일
- move앱
- 동시접속
- ios
- 사양정보
- 韓国
- 스펙정보
- 일본대학원
- 코로나바이러스
- JMeter
- QA
- 성능측정
- 4차산업
- 사용자100명
- 韓国ヒップホップ
- 정보처리기사
- 200-301
- 사양
- 한국판뉴딜
- 리눅스
- 환경정보
- 일본유학
- DevNet
- 스마트시티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59)
IT 컴퓨터공학 자료실
Routing Protocol / | static dynamic / | IGP EGP / | | / | path-vector, BGPv4 distance vector Link-state / | Ripv1, Ripv2, EIGRP OSPF, IS-IS Routing protocol 의 종류 -Static : 남의 이름 물어보기 -Dynamic -IGP : 자기 소개하기 -EGP : 우리반 소개하기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khc00013&logNo=30173205549&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서브넷마스크 쉽게 이해하고 외우자~! 네트워크라는 마을이 있엇습니다. 그곳엔 인기가 많은 커플이 있엇죠. 어디에서든지 거의 모든곳에서 이 아... blog.naver.com https://www.youtube.com/watch?v=8IS13vnRuTQ https://www.google.com/search?q=subnet+mask+easy+explanation&oq=easy+subnet+mask+&aqs=chrome.1.69i57j0l6.6641j0j4&sourceid=chrome&ie=UTF-8 s..
A GridView is a ViewGroup that displays items in two-dimensional scrolling grid. The items in the grid come from the ListAdapter associated with this view.GridView는 스크롤하는 이차원적인 그리드 안에서 표시되는 ViewGroup입니다. GridView는 ListAdapter와 연관되어 Item을 불러옵니다.This is what you'd want to use (keep using). Because a GridView gets its data from a ListAdapter, the only data loaded in memory will be the one displayed..
[안드로이드]Picasso와 Glide 비교분석http://gun0912.tistory.com/19 [안드로이드]유용한 라이브러리 - Glide (이미지 로딩 라이브러리)http://gun0912.tistory.com/17Android의 이미지로딩 라이브러리http://d2.naver.com/helloworld/429368Picasso 파헤치기https://spoqa.github.io/2014/03/28/android-picasso.htmlAndroid SDK: Working with Picassohttp://code.tutsplus.com/tutorials/android-sdk-working-with-picasso--cms-22149 피카소 (Picasso)는 이미지 로딩과 변경을 원하는대로 다루게 해..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HTTP/2 (originally named HTTP/2.0) is the second major version of the HTTP network protocol used by the World Wide Web. It is based on SPDY.[1] HTTP/2[2] was developed by the Hypertext Transfer Protocol working group (httpbis, where bis means "repeat" or "twice") of the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3] HTTP/2 is the first new version of HTTP since HTTP 1...
An event driven architecture may be built on four logical layers, starting with the sensing of an event (i.e., a significant temporal state or fact), proceeding to the creation of its technical representation in the form of an event structure and ending with a non-empty set of reactions to that event. event driven architecture는 네 개의 논리 레이어를 가진다. 이벤트의 감지를 시작하면서, 이벤트 구조의 형태를 기술적으로 표현한 산출물을 진행시키고 이..
In computer science, control flow (or alternatively, flow of control) refers to the specification of the order in which the individual statements, instructions or function calls of an imperative program are executed or evaluated. The emphasis on explicit control flow distinguishes an imperative programming language from a declarative programming language. 컴퓨터공학에서, 컨트롤 플로우는 (다르게 표현하면 flow of cont..
자료 구조(資料構造, 영어: data structure)는 전산학에서 자료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컴퓨터에 저장하는 방법이다. 신중히 선택한 자료구조는 보다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자료구조의 선택문제는 대개 추상적 자료구조의 선택으로부터 시작하는 경우가 많다. 효과적으로 설계된 자료구조는 실행시간 혹은 메모리 용량과 같은 자원을 최소한으로 사용하면서 연산을 수행하도록 해준다. 자료 구조에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이러한 각각의 자료구조는 각자의 연산 및 목적에 맞추어져 있다. 예를 들어 B-트리는 데이터베이스에 효율적이며, 라우팅 테이블은 네트워크(인터넷, 인트라넷)에 일반적이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설계할 때, 어떠한 자료 구조를 선택할지는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構文解析(こうぶんかいせき、Syntactic Analysis)とは、ある文章の文法的な関係を説明すること(parse)。計算機科学の世界では、構文解析は字句解析(Lexical Analysis)とともに、コンピュータ言語などの形式言語の解析に使用される。また、自然言語処理に応用されることもある。構文解析を行う機構を構文解析器(Parser)と呼ぶ。 구문 분석 (行文분석, Syntactic Analysis)은 한 문장의 문법적인 관계를 설명하는 것(parse)이다. 컴퓨터 과학의 세계에서 구문 분석은 어휘 분석 (Lexical Analysis)과 함께 컴퓨터 언어 등의 형식 언어 분석에 사용된다. 또한 자연 언어 처리에 응용 될 수있다.구문 분석을 실시하는 기구를 구문 분석기 (Parser)라고 부른다. 一般的に、プログラムにおける構文解..
상호배제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서 여러 프로세스가 사용할 수 있는 공유 자원에 대해 여러 프로세스에서 동시에 액세스하여 충돌 이 발생하는 경우 프로세스에 자원을 독점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동안 다른 프로세스가 사용할 수 없도록 함으로써 일관성을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최대 k 개의 프로세스가 공유 자원에 액세스하여 좋은 경우를 k-상호배제라고 한다. 다르게 표현하면 하나의 크리티컬 섹션에 여러 프로세스 (또는 스레드)가 동시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크리티컬 섹션은 프로세스가 공유메모리와 같은 공유자원에 액세스하는 부분을 말한다. 상호배제 문제는 1965 년 에츠 허르 데이크스트라가 Solution of a problem in concurrent programming control (병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