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韓国
- JMeter
- 성능측정
- 동시접속
- 코로나바이러스
- 명령어
- 5G
- 일본유학
- gbd-200
- 다음메일
- 200-301
- 한국판뉴딜
- 4차산업
- 환경정보
- certification
- 사양
- 리눅스
- ads.txt
- 부자아빠가난한아빠
- 韓国ヒップホップ
- 스펙정보
- move앱
- 스마트시티
- 일본대학원
- DevNet
- QA
- 정보처리기사
- 사양정보
- 사용자100명
- ios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59)
IT 컴퓨터공학 자료실
초보자를위한 쉘 스크립트의 기본 명령의 소개 안녕하세요, 초보자를위한 기본 명령을 소개하고있는 쉘 스크립트 입문입니다. 마지막으로 파일 이름을 한번에 바꾸는 간단한 쉘 스크립트를 작성하자. 환경 : Mac OSX El Capitan Terminal; bash / sh shell environment; 쉘 스크립트는 쉘 스크립트는 간단하게 말하면 Unix 명령 등을 함께 실행하면됩니다. 언제 어떤 조건에서 어떤 명령을 실행하거나 파일 내용을로드하거나, 로그 파일을 내보내거나 하는 역할입니다. 기본 설정 test.sh파일을 만듭니다. test.sh #! / bin / sh echo "Hello, World!" 쉘 스크립트 파일은 기본적으로 .sh확장자로 만듭니다. 실제 코드를 작성하기 전에 먼저 첫 번째 줄..
What does ps1 do? (PS1 변수는 무슨 역할을 하나요?) PS1 stands for "Prompt String One" or "Prompt Statement One", the first prompt string (that you see at a command line). Yes, there is a PS2 and more! Please read this article and the Arch wiki and of course The Bash Reference Manual. PS1 The primary prompt string. Where is ps1 located? (PS1 변수는 어디에 위치해 있나요?) PS1 is a primary prompt variable which holds \u@..

The Noble Eightfold Path (Pali: ariya aṭṭhaṅgika magga; Sanskrit: āryāṣṭāṅgamārga)[1] is an early summary of the path of Buddhist practices leading to liberation from samsara, the painful cycle of rebirth.[2][3] The Eightfold Path consists of eight practices: right view, right resolve, right speech, right conduct, right livelihood, right effort, right mindfulness, and right samadhi ('meditative ..
팔정도(八正道)의 재조명 “팔정도를 순차적 수행 방식으로 판단해선 안돼” 최근 대승과 동아시아 불교 전공자들과 초기불교의 기본교리에 대한 정기적인 윤독회를 갖고 있다. 이 가운데 초기불교 전공자는 필자뿐으로 세부 전공이 다르면 불교의 이해에 있어 이렇게도 차이가 날 수 있겠구나 하는 생각을 하게한다. 초기불교 전공이 아닌 경우 초기경전보다는 주로 불교 개론서를 통해 초기불교의 일반론을 이해한다. 필자가 동아시아 불교 전공이 아니기에 동아시아 불교전적보다는 2차자료를 통해 동아시아 불교에 대한 개략적인 이해를 하고 있듯이 말이다. 이러한 점에서 최근 사성제와 팔정도에 대한 논의를 하는 과정에서 느낀 몇 가지 점을 빠알리 경전을 통해 그 의미를 다시 한 번 점검해본다. 팔정도의 원어는 ‘아리요 아탕기꼬 막가..
정의 깨달음을 얻기 위한 정견·정사유·정어·정업·정명·정념·정정진·정정의 8가지 수행을 가리키는 불교교리. 내용 정견(正見)·정사유(正思惟)·정어(正語)·정업(正業)·정명(正命)·정념(正念)·정정진(正精進)·정정(正定)을 말한다. 우리 나라의 불교는 대승불교권에 속하지만, 불교를 믿는 사람은 무엇보다도 먼저 이 팔정도에 의하여 수행하고 생활하도록 되어 있다. 이 팔정도는 팔지성도(八支聖道)라고도 하며, ‘여덟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성스러운 도(道)’라는 의미이다. 이 도는 팔리어로 막고(maggo)라는 단수형으로 표시되는데, 이는 8개의 것이 하나의 성스러운 도의 각 부분을 구성하고 있고, 8개 가운데 하나가 실천되면 다른 7개가 그 하나에 포함되어 동시에 행해진다는 상섭(相攝)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
일본어 책 1만 3천권을 무료로 볼 수 있는 웹 사이트, 어플 소개합니다. (일본어 초심자 추천)(고급자도 추천)(엄청난 사이트 발견)(만화, 사회문화, 잡지 최신호, 비지니스 서적 등등) 거두절미하고 링크부터 올립니다. https://galapagosstore.com/web/free/aozora スマホで読める無料の青空文庫 - 電子書籍・漫画のCOCORO BOOKS galapagosstore.com 이 사이트에 가입하면 스마트 폰으로 아오조라 문고의 책을 무료로 읽을 수 있다고 합니다. 아오조라 문고가 어떤 문고냐 하면, 아오조라 문고(일본어: 靑空文庫, あおぞらぶんこ 아오조라 분고[*])는 ‘일본어판 구텐베르크 프로젝트’로 불리는 일본의 인터넷 전자도서관으로, 저작권이 풀린 문학작품을 수집, 전자문서화해..

2020-06-10 17:11 일본 취업하시려면 엔트리시트(ES)를 작성 하셔야 하는데요. 엔트리시트 작성하느라 고민이 많으실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저도 일본 취업을 희망하고 있어서, 엔트리시트를 어떻게 하면 잘 쓰고, 잘 써서 내정을 받으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고민을 많이 합니다. 그러던 중 제가 다니던 일본 IT 연계 취업 학원에서 책 한권을 발견합니다. 바로 이 책인데요. 연식은 2019년으로 조금 기간이 된 책인데, 첫 소개글을 읽는데, 무언가 마음을 끌어들이는 듯한 도입부(初めて)가 있고, 뒤에 이력서를 어떻게 써야 잘 쓰게 만들어 줄까 궁금증을 유발하는 그러한 시작입니다. "9년 연속" 대학생협회 매상 1위를 차지했다고 하는 데에 신뢰가 가네요. 학원 책장에 괜히 꽂혀 있진 않았을 것 같아요...
게이트웨이로드 균형 조정 프로토콜은 기본로드 균형 조정 기능을 추가하여 기존 중복 라우터 프로토콜의 한계를 극복하려고 시도하는 Cisco 독점 프로토콜입니다. GLBP는 서로 다른 게이트웨이 라우터에서 우선 순위를 설정할 수있을뿐만 아니라 가중치 매개 변수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자꾸 분쟁글만 쓰니 반성의 의미에서 다른 주제의 글 하나 써봅니다. 저는 어렸을때는 우리나라를 좋아했고 모든것에 긍정적이었고 표창장, 모범상, 선행상, 봉사상 이런것들을 아마 한국에서 제일 많이받은 어린이중 하나 아닐까 할정도로, 매학기 수차례 받았습니다. 이게 담임이 대강 너가 가져가라고 던져주는게 아니고, 담임이 "XX상 누구주면 좋을까? 추천해봐" 라고 아이들에게 물으면 필통이요 필통이요 이래서 받았던거라서, 어린 마음에 자부심이 컸지요... 공부가 반에서 1~2등이었던것도 아니었어요, 중상위권정도. 중학교때 성적도 반에서 5등정도였는데도, 전교에서 1명받는 교육감 표창을 추천받아 받으러 갈정도로 남들에게 평판이 좋은 스타일이었습니다. 별 생각없이 대학와서 군대 다녀오고 여러가지 책을 보고 새로운 ..
대학 신입생때만 해도 나만큼은 재미없는 월급쟁이인생 안살 줄 알았지만 뭐 결국 이렇게 살고 있다. 그나마 서울 중심에서 일할 수 있다는 것으로 만족하며 산다. 시기가 시기인만큼 후배들중에도 몇주뒤면 사회생활을 시작하는 친구들이 많을 것이라 생각한다. 얼마뒤에 신입공채+인턴정규직전환+대외활동정규직전환 된 귀여운 신입애들 들어오는 자리가 마련되어 있는데, 그 시절 생각도 나고 그때 미리 알았더라면 덜 실수했을텐데 하는 것들을 중심으로 써보려 한다. 먼저 이 글은 소위 이야기하는 대기업 기반으로 쓴다는 것을 밝혀둔다. 아무래도 소규모의 중소기업이나 현장기반의 제조업같은 곳은 기업문화가 다를 수도 있어서 그런 점은 양해 바란다. 물론 업종별 편차가 발생하는데 해당 부분은 최대한 배제하고 기술하려 했으니 일반적인..